Table of contents
Open Table of contents
처리율 제한 알고리즘
처리율 제한을 실현하는 알고리즘은 여러 가지인데,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갖고 있다.
- 토큰 버킷
- 누출 버킷
- 고정 윈도 카운터
- 이동 윈도 로그
- 이동 윈도 카운터
토큰 버킷 알고리즘
코튼 버킷은 지정된 용량을 갖는 컨테이너다. 이 버킷에는 사전 설정된 양의 토큰이 주기적으로 채워진다. 토큰이 꽉 찬 버킷에는 더 이상의 토큰은 추가되지 않는다. 버킷이 가득 차면 추가로 공급된 토큰은 버려진다.
각 요청은 처리될 때마다 하나의 토큰을 사용한다. 요청이 도착하면 버킷에 충분한 토큰이 있는지 검사하게 된다.
- 충분한 토큰이 있는 경우, 버킷에서 토큰 하나를 꺼낸 후 요청을 시스템에 전달한다.
- 충분한 토큰이 없는 경우, 해당 요청은 버려진다.
토큰 버킷 알고리즘은 2개 인자를 받는다.
- 버킷 크기: 버킷에 담을 수 있는 토큰의 최대 개수
- 토큰 공급률: 초당 몇 개의 토큰이 버킷에 공급되는가
장점
- 구현이 쉽다.
- 메모리 사용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
- 짧은 시간에 집중되는 트래픽도 처리 가능하다. 버킷에 남은 토큰이 있기만 하면 요청은 시스템에 전달될 것이다.
단점
- 이 알고리즘은 버킷 크기와 토큰 공급률이라는 두 개 인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 값을 적절하게 튜닝하는 것은 까다로운 일이 될 것이다.
누출 버킷 알고리즘
누출 버킷 알고리즘은 토큰 버킷 알고리즘과 비슷하지만 요청 처리율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누출 버킷 알고리즘은 보통 FIFO 큐로 구현한다.
그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 요청이 도착하면 큐가 가득 차 있는지 본다. 빈자리가 있는 경우에는 큐에 요청을 추가한다.
- 큐가 가득 차 있는 경우에는 새 요청은 버린다.
- 지정된 시간마다 큐에서 요청을 꺼내어 처리한다.
누출 버킷 알고리즘은 다음의 두 인자를 사용한다.
- 버킷 크기: 큐 사이즈와 같은 값이다. 큐에는 처리될 항목들이 보관된다.
- 처리율(outflow rate): 지정된 시간당 몇 개의 항목을 처리할지 지정하는 값이다. 보통 초 단위로 표현된다.
장점
- 큐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메모리 사용량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 고정된 처리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 출력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단점
- 단시간에 많은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 큐에는 오래된 요청들이 쌓이게 되고, 그 요청들을 제때 처리하지 못하면 최신 요청들은 버려지게 된다.
- 두 개 인자를 갖고 있는데, 이들을 올바르게 튜닝하기가 까다로울 수 있다.
고정 윈도 카운터 알고리즘
고정 윈도 카운터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 타임라인을 고정된 간격의 위도로 나누고, 각 윈도마다 카운터를 붙인다.
- 요청이 접수될 때마다 이 카운터의 값은 1씩 증가한다.
- 이 카운터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면 새로운 요청은 새 윈도가 열릴 때까지 버려진다.
장점
- 메모리 효율이 좋다.
- 이해하기 쉽다.
- 윈도가 닫히는 시점에 카운터를 초기화하는 방식은 특정한 트래픽 패턴을 처리하기에 적합하다.
단점
- 윈도 경계 부근에서 일시적으로 많은 트래픽이 몰려드는 경우, 기대했던 시스템의 처리 한도보다 많은 양의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이동 윈도 로깅 알고리즘
이동 윈도 로깅 알고리즘은 고정 윈도 카운터 알고리즘의 경계 부근의 트래픽이 몰려드는 문제를 해결한다.
- 이 알고리즘은 요청의 타임스탬프를 추적한다. 타임스탬프 데이터는 보통 캐시에 보관한다
- 새 요청이 오면 만료된 타임스탬프는 제거한다. 만료된 타임스탬프는 그 값이 현재 윈도의 시작 지점보다 오래된 타임스탬프를 말한다.
- 새 요청의 타임스탬프를 로그에 추가한다.
- 로그의 크기가 허용치보다 같거나 작으면 요청을 시스템에 전달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거부한다.
장점
- 이 알고리즘이 구현하는 처리율 제한 매커니즘은 아주 정교하다. 어느 순간에 윈도를 보더라도, 허용되는 요청의 개수는 시스템의 처리율 한도롤 넘지 않는다.
단점
- 이 알고리즘은 다량은 메모리를 사용하는데, 거부된 요청의 타임스탬프도 보관하기 때문이다.
이동 윈도 카운터 알고리즘
이동 윈도 카운터 알고리즘은 고정 윈도 카운터 알고리즘과 이동 윈도 로깅 알고리즘을 결합한 것이다.
이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데는 두 가지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처리율 제한 장치의 한도가 분당 7개 요청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현재 1분간의 요청 수 + 직전 1분간의 요청 수 X 이동 윈도와 직전 1분이 겹치는 비율
장점
- 이전 시간대의 평균 처리율에 따라 현재 윈도의 상태를 계산하므로 짧은 시간에 몰리는 트래픽에도 잘 대응한다.
- 메모리 효율이 좋다.
단점
- 직전 시간대에 도착한 요청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추정치를 계산하기 때문에 다소 느슨하다. 하지만 이 문제는 생각만큼 심각한 것은 아닌데, cloudflare가 실시했던 실험에 따르면 40억 개의 요청 가운데 시스템의 실제 상태와 맞지 않게 허용되거나 버려진 요청은 0.003%에 불과하였다.
처리율 한도 초과 트래픽의 처리
어떤 요청의 한도 제한에 걸리면 API는 HTTP 429 응답 (too many request)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 경우에 따라서는 한도 제한에 걸린 메시지를 나중에 처리하기 위해 큐에 보관할 수도 있다.
처리율 제한 장치가 사용하는 HTTP 헤더
X-Ratelimit-Remaining
: 윈도 내에 남은 처리 가능 요청의 수.X-Ratelimit-Limit
: 매 윈도마다 클라이언트가 전송할 수 있는 요청의 수.X-Ratelimit-Retry-After
: 한도 제한에 걸리지 않으려면 몇 초 뒤에 요청을 다시 보내야 하는지 알림.
사용자가 너무 많은 요청을 보내면 429 too many requests 오류를 X-Ratelimit-Retry-After
헤더와 함께 반환하도록 한다.
처리율 제한을 회피하는 방법. 클라이언트를 어떻게 설계하는 것이 최선인가?
- 클라이언트 측 캐시를 사용하여 API 호출 횟수를 줄인다.
- 처리율 제한의 임계치를 이해하고, 짧은 시간동안 너무 많은 메시지를 보내지 않도록 한다.
- 예외나 에러를 처리하는 코드를 도입하여 클라이언트가 예외적 상황으로부터 graceful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한다.
- retry 로직을 구현할 때는 충분한 back-off 시간을 둔다.
references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